목록Cloud (4)
Code&Data Insights
Load Balancer 비교: ALB와 NLB(1) ALB (Application Load Balancer): 특정 페이지의 성공적인 HTTP GET 뿐만 아니라 콘텐츠가 입력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예상한 대로라는 확인을 기반으로 가용성을 결정애플리케이션 계층(7계층)에서 작동HTTP/HTTPS 요청 기반 라우팅 및 상태 확인 지원사용 사례: 웹 애플리케이션, REST API(2) NLB (Network Load Balancer)네트워크 계층(4계층)에서 작동TCP/UDP 트래픽 라우팅 및 낮은 지연 시간 제공.사용 사례: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IoT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보장할 수 없음, 네트워크 및 TCP 계층 변수에만 의존하여 결정을 내리며 애플리케이션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NLB 는 ..

Region : 특정 지리적 위치에 위치한 다수의 가용 영역(AZ)을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그룹 1) 물리적인 위치와 거리 - 고객과의 거리(Proximity to your customer)- 네트워크 지연 시간, AWS 서비스 간 대기 시간 2) 법적인 고려 - Compliance with data governance and legal requirement 3) Region 안에서 가능한 서비스를 고려 4) 가격정책(Pricing)- tax, cost of maintanance (전력) AZ(Availability Zone):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해 복구를 위해 다른 AZ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인 네트워크와 연결을 제공 특징 1) 독립적으로 운영 - 물리적으로 분리..

가상화란? :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처럼 표현(=파일 핸들링)하는 것. => 파일 형태로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 (ex) VMWare (이미지 파일: 해당 머신을 묘사하는 이미지) (1) 파일형태로 관리가 되기 때문에 쉽게 복사와 이동이 가능하다. (2) 버전 관리가 가능 (버전관리 : 변경을 기록, 이력 추적이 가능, 필요하다면 롤백이 가능) (3) 내용 검증(Inspection)이 가능 IaC(Infrastructure as Code) : Infra(하드웨어의 구성)를 코드로 관리가 가능, 서비스 가능한 인프라를 자동으로 만들어줌(ex) TerraForm, ansible, Vagrant, AWS Cloud Formation 클라우드란?: 인터넷과..

학부 졸업 후 웹 개발을 실무에서 짧게나마 경험해보고 느낀점은 (챗 지피티가 나보다 훨씬 정교하고 빨리 짜주는 코드에 자괴감도 느끼고 내가 성장하기전에 대체될거라는 두려움과)회사를 다니면서도 미래에 대한 계속되는 걱정과 함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분야 한가지를 정하고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생성형 AI를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하게 되면서 이에 따른 보안문제나 클라우드 인프라 비율이 높아지면서 클라우드 관련 보안 취약점들도 계속 생겨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마침 내가 해본 경험과 앞으로 배워나가고 싶은 것들이 모두 포함된 이 프로그램을 발견해서 지원하게 되었다. SK쉴더스 현업 분들이 최종 프로젝트 멘토링을 직접 해주시고 프로젝트 이후 채용연계 기회도 주어진다고 한다.서류 접수..